세상 엿보기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후크, 스토리, 제안 1. 후크, 스토리, 제안 후크: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 스토리: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작은 창 스토리는 제안의 가치를 높임. 스토리는 매력적인 캐릭터와 브랜드와의 관계를 맺음. 제안: 후크는 시건을 끌고, 스토리는 욕구를 생성, 제안은 마지막 단계 판매만 아니라, 좋아요, 구독, 에일링 가입 등임. (트래픽 설계자, 73p) => 주변에서 많이 관찰할 수 있음. 상생의 후크, 스토리, 제안을 할 줄 알 것. 2. 다이어리의 역할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역사는 반복된다. 나의 과거가 나의 미래에 반복된다. 기록된 데이터가 많을수록 예측의 정확도는 높아짐. 다이어리의 역할: 자존감에 작은 구멍이 생긴 것을, 그 구명을 제때 튼튼히 보수하는 것 (당신의 기록은 꽤나 대단합니다, 64p) => 다.. 실패와 실력 실패와 실력은 한 글자 차이 납니다. 하루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나요? 퍼스널 브랜딩의 핵심은 뭔가요? 칸트의 윤리학, 비트켄슈타인의 철학이 궁금해요. 1. 실패와 실력 아주 작은 실패들이 쌓여 내가 되고, 그 실패들이 나의 실력이 된다. 그러니 실패에 대해서 두려워하지 말자. 특히 콘텐츠들은 실패해 봤자 밑져야 본전이다. 어쩌면 실패 경험들은 나를 매력 있게 만드는 나만의 스토리가 될 수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실패 경험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실패 경험을 지금 생각했을 대 어떤 감정이 드는가? (NAME 내 이름으로 먹고 삽니다, 82p) => 실패의 경험이 실력을 발전할 것. 마인드가 중요함. 두려움을 이기는 마음 가짐이 특히 초기에 필요함. 2. 하루 설계 비법 스스로 리듬을 파악하여 자원을 최적.. 일정한 시간 쌓이면 결과 나옴 매일 일정 시간 노력을 쌓으면 어떻게 될까요? 사업 성공의 길은 뭘까요? 소리, 호흡, 걷기 마음 챙기은 어떻게 할까요? 명상 효과는? 1. 일정 시간 쌓이면 결과 나옴 매일 저녁 8시가 쌓여 석사 과정 합격 누구든 매일 일정 시간을 투자하면 결실을 맺을 수 있음 프로젝트 선택, 실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동기 부여함. 가슴이 뛰는 프로젝트 선택: 상상 동기부여를 할 환경 조성: 정보 공유, 대화, 긍정 자극 마감 기한 정할 것: 서류 제출 마감 다른 사람의 피드백과 개선: 지인에게 리뷰 부탁 (미래는 저녁 8시에 결정된다, 70p) => 선택 끊임없이 동기 부여를 만들 것 2. 다속성 효용이론 다수 목표, 다수의 가치가 걸린 상황에서 의사결정 각 선택지를 나열 선택지에 대해 0에서 100까지 점수를 매.. 모방과 진짜의 차이점 모방과 진짜의 차이는 뭘까요? 누가 호구인가요? 타임 테이블 관리는 어떻게 할까요? 노션과 블로그의 차이는? 퍼널 허브와 그림자 허브란? 바이럴 효과는 어떻게 일어나는가요? 1. 모방과 진짜의 차이점 플랑크 노벨상 받은 후, 강연 요청, 반복되고 같은 내용, 운전기사도 설명할 정도가 됨. 운전기사가 강연을 함. 플랑크는 그러자고 했음. 강연 성공, 그러나 질의응답 시간에 한 청중이 질문함. 운전기사는 "이 문제는 간단합니다. 이 자리에 있는 제 운전기사가 대답할 정도죠." 별 탈없이 마무리함. (세상에서 가장 쉬운 양자역학 수업, 30p) => 진짜 전문가가 아니면 질문에 답을 못함 변화에 대한 대응을 못함. 2. 어머니의 덕성 누군가 사랑할 때 호구가 될 위험을 감수함. 유혹이라는 행위가 가벼운 사기임.. 트윈십 1년 다이어리를 제대로 책처럼 써본 적이 있으세요? 트윈십을 잘 갖고 계세요? 양자 역학은 인간의식 현상까지고 연구하려고 하고 있어요. 인지자원이 중요해요. 인지자원이 소갈되지 않도록 해야 해요. 1. 다이어리 샘플 나를 연인처럼 대하는 2023 주 3회 퇴근 후에 스피닝 가기 나를 믿는 마음으로 사업계획서 완성해서 지원사업 신청 일주일에 하루는 의무적으로 쉬기 가장 지치는 날 운동화 신고 미술관 가기 한 달에 2명 배울 수 있는 사람 만나서 인사이트 얻기 월목표 및 일정 월일정표 하루 일기 적기 할일, 일기 형식으로 글 적기 "주말부터 두통이 심했는데 아침까지도 아파서 생각만큼 오전 내내 집중하지 못했다. 마음은 급한데 몸은 따라주지 않으니 답답하기만 한 우선 몸을 돌봐야겠다 싶어서 오랜만에 샐러드도 .. 10배 법칙에서 빠진 것 10배 법칙에서 빠진 조각은 뭘까요? 저녁 8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시나요? 하브루타는 친구인데, 자기가 자기의 친구가 될 수 없나요? 모든 출발은 자기 자신부터 믿고 시작합니다. 1. 10배 법칙에서 빠진 것 10배의 법칙 "10배의 목표를 세우고 다라 하려다 보니 버거워서 삶이 온통 혼란에 빠져버렸어요." 빠진 퍼즐 조각: 집착 (집착의 법칙, 24p) => 집착 다른 말로 하면 일심이 필요함. 2. 저녁 8시 사이드 프로젝트 매일 저녁 8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는 습관 하루를 세 개의 블록으로 기상-> 모닝 루틴-> 오전 일과-> 점심-> 오후 일과-> 저녁-> 저녁 일과=> 저녁 루틴-> 취침 3개월에 한번 OKR을 세움. 1~2시간 소요 나 자신을 점검하는 소중한 시간 노션 활용 OKR 템플릿 .. 설득하지 않음 설득하지 않고 참여하는 법은 무엇일까요? 사람마다 일을 대하는 태도가 다릅니다. 웃음은 성공의 기초입니다. 이해하도록 할 때는 하나로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1. 설득하지 않음 그 사람이 정말로 동료가 되어 줄지는 내가 결정할 수 없는 영역이지요. 상대가 제안을 수락해야 비로소 동료가 되니까요. 제안에 무조건 반사로 "그거 좋네요."하고 반응하는 사람들하고만 함께 일합니다. (하하 호호 기획법, 186p) => 정보를 주고 하겠다는 사람이 하도록 하면 됨. 2. 복사 업무 대하는 태도 복사를 시켜도 복사만 하는 사람이 있고, 복사 안의 내용을 파악하는 사람이 있다. 모니터링이 시작하는 홍보인에게 있어 일종의 복사 업무라고 생각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기사 카운팅만 하는 이도 있겠지만, 그 기사들을 꼭꼭 .. 섬네일 선택 시간 섬네일을 선택하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까요? 발췌독을 잘하려면 무한 수프 신호의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브랜드냐, 세계관이냐? 사용자 습관 형성 5가지는? 시는 발명이 아니라 발견입니다. 1. 섬네일 선택 시간 사용자 한 명이 섬네일을 선택하는 평균 시간은 1.8초 소비 이 찰나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 풍경이나 물건보다 사람의 얼굴에 더 강력하게 반응 (사실은 이것도 디자인입니다, 34p) => 심리학은 인간을 편리하게도 하지만, 인간성을 파괴하기도 하겠음. 2. 발췌독 발췌독에서 중요한 것은 자료에 휘말리지 않고 자료를 잘 컨트롤하며 보는 것이다. 내 관점과 논리를 가지고서 필요한 부분만 왜곡 없이 봐야 한다. 그러려면 내가 가진 질문에 답하고, 내게 필요한 논리적 근거와 사례.. 무엇이 첨단인가? 세상에는 첨단이라고 말하는 것이 흘러넘쳐요. 과연 무엇이 내 입장에서 첨단이어야 할까요? 건물을 지을 때 뭐가 가장 중요할까요?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이 연구도 잘할까요? 소주의 도수가 낮아진 이유를 아세요. 건배의 유래도 아세요. 스토리는 뭘까요? 스토리의 힘은 왜 생길까요? 1. 무엇이 첨단인가? 워렌 버핏: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 그러면 당신은 원하는 것을 얻게 된다. 이 말의 뜻은 '자신이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을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 임. 세상에 어느 하나 첨단 아닌 것이 없음. 자기 좋아하는 것, 평생 동안 하면서 기쁨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 내 안에서 최고로 만들 때 세상에서는 그것을 첨단이라고 함. (교육이 없는 나라, 134p) => 최고의 첨단은 자기가 잘하는 것을 하는 것임.. 미디어는 메시지다 뜻 메시지 보다 미디어가 더 중요할 때가 있어요. 상대주의와 절대주의가 서로 맹렬히 논쟁해요. 어떻게 우리는 대응해야 하나요? 내가 중심이 잡혀서 행동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죽음이 없었다면 인류 문명은 발전하였을까요? 심플하지만 화려하게 해 주세요. 왜 이렇게 말할까요? 메타 뜻의 기원은 뭘까요? 인생의 균형은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요? 1. "미디어는 메시지다." 미디어 이론가 마셜 매클루언의 말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모든 매체가 미디어 사람들은 메시지만 주목하는데, 여기가 잘못되었다고 봄. 개별 미디어가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미디어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 변화를 이끈 것은 메시지가 아니라 미디어라는 것.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교보문고 창립자, 대산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