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4) 썸네일형 리스트형 글과 실천의 관계 말하는 법을 연습해야 해요. 어디로부터 배울까요? 갑질을 당했을 때,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남 앞에서 주눅 드는 것을 극복하는 법이 있을까요? 글과 실천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1. 말맛을 살리면서 힘 있게 말하는 법 강조할 단어를 크게 말하기 강조할 단어를 천천히 말하기 잠깐 쉬었다 말하기 (한석준의 말하기 수업, 87p) => 말을 완급을 주어서 잘 말해야 함. 말하는 훈련이 어렸을 때부터 되어주는 게 좋음. 2. 실수 우리는 성공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는 게 아니라 실패로부터 배운다. (소설가 브램 스토커) 용기 실수해서 크게 문제가 없다면 실수로부터 배우고 실력을 키우는 것이 현명 (한석준의 말하기 수업, 208p) => 가능하면 실수를 하지 말 것. 그러나 실수를 했을 경우는 과감하게 배.. 무엇이 첨단인가? 세상에는 첨단이라고 말하는 것이 흘러넘쳐요. 과연 무엇이 내 입장에서 첨단이어야 할까요? 건물을 지을 때 뭐가 가장 중요할까요?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이 연구도 잘할까요? 소주의 도수가 낮아진 이유를 아세요. 건배의 유래도 아세요. 스토리는 뭘까요? 스토리의 힘은 왜 생길까요? 1. 무엇이 첨단인가? 워렌 버핏: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 그러면 당신은 원하는 것을 얻게 된다. 이 말의 뜻은 '자신이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을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 임. 세상에 어느 하나 첨단 아닌 것이 없음. 자기 좋아하는 것, 평생 동안 하면서 기쁨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 내 안에서 최고로 만들 때 세상에서는 그것을 첨단이라고 함. (교육이 없는 나라, 134p) => 최고의 첨단은 자기가 잘하는 것을 하는 것임.. 미디어는 메시지다 뜻 메시지 보다 미디어가 더 중요할 때가 있어요. 상대주의와 절대주의가 서로 맹렬히 논쟁해요. 어떻게 우리는 대응해야 하나요? 내가 중심이 잡혀서 행동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죽음이 없었다면 인류 문명은 발전하였을까요? 심플하지만 화려하게 해 주세요. 왜 이렇게 말할까요? 메타 뜻의 기원은 뭘까요? 인생의 균형은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요? 1. "미디어는 메시지다." 미디어 이론가 마셜 매클루언의 말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모든 매체가 미디어 사람들은 메시지만 주목하는데, 여기가 잘못되었다고 봄. 개별 미디어가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미디어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 변화를 이끈 것은 메시지가 아니라 미디어라는 것.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교보문고 창립자, 대산 .. 이전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