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95)
상대를 통제하려고 하면 할수록 상대는 내 인생에서 빠지고 싶어한다(독서4) 1. 모든 사람은 저마다 선택된 여정이 있다. 상대를 통제하려고 하면 할수록 상대는 내 인생에서 빠지고 싶어 한다. 내 옆에 있게 하려는 것은 불안감과 무력감을 회피하려고 하기 때문. (타인의 감정이 나를 지캐하지 않도록, 214p) => 가지려고 하면 도망감. 비움으로서 채우는 태도가 필요함. 경험과 깨달음이 필요함.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 깨달음의 공유. 2. 자아의 시끄러운 목소리 아래에는 신의 조용한 목소리가 있다. 조용한 목소리는 바쁘게 재잘대는 마음을 비우거나 침묵시켜야만 들을 수 있다. (타인의 감정이 나를 지배하지 않도록, 220p) => 자아 의식을 잠재우고, 우주 의식을 만나야 함. 명상 수행 할 것. 3. 저울의 교훈 끊임없는 쾌락 추구(그리고 고통 회피)는 고통을 낳는다. 회복은 ..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독서3) 1.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모르는 것을 학습하기 때문에 잘 알고, 지도해 주고 관리해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같이 학습하는 사람이나 조금 나보다 더 지식이 있는 사람도 좋다. 발표하고 의견을 듣는 방식도 좋음. (성공하는 프로그래밍 공부법, 166p) => 혼자 공부하는 것의 한계 최소한 물고기 잡는 법을 배워야 할 것임. 2. 결혼은 사랑의 완성이 아니라 배우자를 기필코 사랑하겠다는 다짐 더 좋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 힘든 일이 있을 때는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좋은 일이 있을 땐 평생 처음 보는 것처럼 (책과 삶에 관한 짧은 문답, 129p) => 결혼은 다짐이고 서약이라는 말의 의미가 깊음. 3. 더닝 크루거 효과 코넬대 교수와 대학원생었던,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는 ..
일상에서 느끼는 우리의 고민들(독서2) 1. 일상에서 느끼는 우리의 고민들 내 감정에 흔들림: 내가 싫음, 걱정이 많음, 우울함과 무기력, 분노 조절 장애, 나쁜 습관 답답한 관계: 과거의 기억, 간섭하는 부모님, 형제 관계, 일상에서 도망 다른 사람의 시선: 친구 없다면, 따돌림, 외모 사회 속 나만의 정체성: 중심 세우기, 죽고 싶은 마음(이제는 나부터 챙기기로 했다, 목차) => 일반 사람들이 많이 느끼는 고충들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기중심 잡는 공부에 관한 인사이트를 개발할 것. 2. 규칙적인 창작 사이클 아침 9시부터 12시까지 꾸준히 원고를 씀 (창작형 인간의 하루, 86p) => 현재는 새벽 시간을 활용함. 루틴화 할 것. 일상에서 영감 받은 것은 간단간단하게 메모할 것. 3. 스탠퍼드대학교 연구진은 2018년 시간을 돈으로 환산..

반응형